목록코드스테이츠 (34)
야단난기획

안녕하세요 벌받는돌고래입니다. 좋은 3주차입니다. 오늘은 시장에서 잔치국수를 먹었는데요. 면이 두꺼웠습니다. 그럼 오늘도 시작해봅시다. 오늘의 과제입니다. 좋아하는 서비스의 BM을 캔버스에 채우면 됩니다. 과제 1) 내가 좋아하는 서비스의 BM은 어떻게 생겼을까? 최근 가장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 중 하나를 선택, 어떤 BM을 가졌을지 아래 내용에 따라 분석해봅니다. 너무 대중적인 서비스는 제외하나 이들의 세부적인 서비스만 대상으로 하는 것은 가능합니다.(ex: 카카오톡, 구글, 당근마켓, 네이버, 오늘의 집, 쿠팡, 마켓컬리, 배달의 민족은 제외 / 네이버웹툰, 카카오택시, 당근페이, B마트 등의 가능) 새로운 서비스를 찾아보시기를 권장해드리기 위해서 일부 기업/서비스는 제외했습니다. 너무 큰 단위의 기..

핵심 문제/니즈 정의 (Product Statement) UC&C 시장에는 원격 특성상 ‘결합 조직’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합니다. 그 원인은 (1) 능동적으로 행동하지 않는 이상 조직과 동료의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고 (2) 실시간으로 시각적인 의사소통에 한계가 있으며 (3) 개인의 작업이 어떻게 팀의 성공으로 이어지는지 불확실하며 (4) 동료에 대한 사적인 무관심과 부족한 스몰톡 때문입니다. 문제해결방법 알로는 ‘원격 환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조직의 결합 문제’를 ‘실시간 비쥬얼 워크스페이스 통합 솔루션’으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핵심 고객 (타겟 퍼소나) & 고객 여정지도 (Customer Journey Map) 20인 규모 스타트업 대표인 류혁은 본인 기업의 통합 협업 솔루션으로 알로를 ..

안녕하세요 벌받는돌고래입니다. 요즘 매운 음식이 맛있습니다. 사실 원래는 국물떡볶이 인상이 좋지 않았었는데요. 뒤늦지만 엽떡이 그렇게 좋더군요. 치즈가 참... 치즈 얘기를 하니 CVC가 생각납니다. 오늘은 CVC를 배웠습니다. CVC란 고객 가치 사슬(Customer Value Chain)을 의미합니다. 고객이 프로덕트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부가가치를 정리한 것입니다. 1. 고객 가치 창출 2. 고객 대가 지불 3. 고객 가치 잠식 위와 같은 세가지 고객 가치를 표 또는 그림으로 제공합니다. 흥미로운 과정입니다. 소비하는 과정 각각에 가치를 연결하니 고객의 마음이 한 눈에 보인달까요. 열심히 연습해서 나중에 실무에서도 활용해보고 싶습니다. 오늘의 과제는 CVC를 직접 수행해보는 것입니다. 가치 기반으로 ..

안녕하세요 벌받는돌고래입니다. 저는 벌써 자켓을 입고 다닌답니다. 그 계절이 오고야 만 것이죠. 이제야 일하는 맛이 난달까요. 가슴팍 안주머니에서 핸드폰을 꺼낼 때마다 손끝이 수제초코입니다. 퍽 달콤하다는 뜻이지요. 오늘은 설문조사와 인터뷰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사실 PM이 맡는 과제 중 가장 재밌는 부분입니다. 그만큼 어렵기도 합니다. 게다가 프로덕트의 향방을 결정짓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열심히 갈고 닦아야겠습니다. 오늘의 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과제) 인터뷰 준비 및 실습 과정 문제를 발견하고자 하는 주제 하나를 선정해주세요. 그리고 아래 과정을 참고하여 30분 미만으로 인터뷰를 준비하고 진행합니다. 진행 후에는 본인이 진행한 것들에 대해서 회고하여 정리해주세요. (대상자 가정 : 특정 주제와 관련..

안녕하세요 벌받는돌고래입니다. 어김없이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잠을 잘 못 잤는데요. 새벽에 이상의 수필을 읽었더니 그렇습니다. 과연 파괴적인 문체더군요. 달은 추락할 것이다. 지구는 피투성이가 되리라. 이번 강의는 JTBD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JTBD는 Jobs To Be Done의 약자로 특정 상황에서 고객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포커싱한 고객의 문제 접근 방법을 의미합니다. 재밌는 접근 방법입니다. 같은 문제를 해결하더라도 접근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물이 나온다는 것이 신기합니다. 오늘의 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과제) 고객이 우리 서비스를 사용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내가 사용하는 (선호하는) 서비스 중 나의 삶에 제일 많은 영향을 끼치는 서비스 하나를 선택합니다. 너무 대중적인 서비..

안녕하세요 벌받는돌고래입니다. 벌써 2주차가 됐습니다. 문학과 한잔의 물, 지저귐 그리고 부트캠프 오늘은 본격적으로 고객 문제 발견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프레임워크를 개괄적으로 접했는데요. 그 중에서도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오늘의 과제는 페르소나 중심으로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1. Emphathize: 관심 있는 서비스 중 하나를 선택, 어떤 고객을 타겟으로 만들어졌을지를 퍼소나를 바탕으로 분석해 봅니다. 분석에 사용할 서비스를 하나 선택해 봅니다. 너무 대중적인 서비스는 제외하나 이들의 세부적인 서비스만 대상으로 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ex: 카카오톡, 구글, 당근마켓, 네이버, 오늘의 집, 쿠팡, 마켓컬리, 배달의 민족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