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야단난기획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씀 -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본문

데일리 과제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씀 -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벌받는돌고래 2022. 8. 29. 13:40

무거워

 

안녕하세요 벌받는돌고래입니다.

 

벌써 2주차가 됐습니다.

문학과 한잔의 물, 지저귐

그리고 부트캠프

 

오늘은 본격적으로 고객 문제 발견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프레임워크를 개괄적으로 접했는데요.

 

그 중에서도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오늘의 과제는 페르소나 중심으로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1. Emphathize: 관심 있는 서비스 중 하나를 선택, 어떤 고객을 타겟으로 만들어졌을지를 퍼소나를 바탕으로 분석해 봅니다.

  1. 분석에 사용할 서비스를 하나 선택해 봅니다.
    1. 너무 대중적인 서비스는 제외하나 이들의 세부적인 서비스만 대상으로 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ex: 카카오톡, 구글, 당근마켓, 네이버, 오늘의 집, 쿠팡, 마켓컬리, 배달의 민족은 제외 / 네이버웹툰, 카카오택시, 당근페이, B마트 등의 가능) 1. 새로운 서비스를 찾아보시기를 권장해드리기 위해서 일부 기업/서비스는 제외했습니다. 2. 너무 큰 단위의 기업이나 서비스 분석은 자칫 분석이나 결과를 내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어 제외했습니다
  2. 해당 서비스의 주요 기능과 특징을 살펴보고 간략하게 정리해 봅니다.
  3. 해당 기능들은 어떤 고객을 타겟으로 기획되었을지 생각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퍼소나를 역으로 만들어 봅니다. - 예시 

2. Discover

  1. 퍼소나의 입장에서 문제점과 개선점을 정리해봅니다.
  2. 선택: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며 겪게 되는 상황별로 퍼소나가 느끼게 될 당시의 감정, 생각을 정리해주세요. (힌트: customer journey map) (손으로 그리시거나, 피그마, PPT 등 자유롭게 진행해주세요.)

3. Define

  1. 여러 문제&개선점 중 핵심 or 반드시 해야 할 것을 선정하고 선정한 이유를 정리합니다.
  2. 선택: 여러 문제&개선점을 다양한 관점(ex. 특징, 사용자별 행동, 비슷한 주제) 등으로 분류하고 분류 작업기를 작성해주세요.

4. Ideate

  1. 핵심 문제나 개선점을 해결할 방법을 알아보고, 이 중에서 어떤 방법으로 할지 택1하고 그 이유를 정리합니다.
  2. 선택: ICE Scoreing Method를 활용하여 점수를 매겨보고, 점수 기반으로 우선순위를 정리하고 본인이 생각한 것과 차이가 있는 경우, 왜 그런지 같이 정리합니다.

 


 

1. Empathize

 

제가 선택한 프로덕트는 입니다.

 

 

씀은 문학적 글쓰기에 집중한 앱입니다.

사용자는 제목본문으로 이루어진 글만을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나 동영상 업로드가 불가능하며 텍스트의 글꼴이나 색상과 같은 형식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선택과 집중이 적절한 앱이며, 오히려 기능을 제한함으로써 본 기능에 충실하다고 평가받습니다.

 

홈화면
홈화면 슬라이드 페이지2
홈화면 슬라이드 페이지3

 

핵심 컨셉은 글감입니다.

앱은 하루에 하나의 글감을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글감으로 바로 글을 작성할 수 있으며 (글감이 제목이 된다.)

또한 해당 글감으로 작성된 타인의 글도 볼 수 있습니다.

 

햄버거 클릭 화면

 

다음은 햄버거를 클릭 시 나오는 네비게이션입니다.

 

각각의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글쓰기 - 글감을 바탕으로 글쓰기를 시작한다. 제목은 자동적으로 글감과 동일하게 작성되지만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제목과 본문으로만 구성되어있다.

2. 글감 - 지난 글감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 글감을 클릭하면 해당 글감으로 작성된 타인의 글을 볼 수 있다.

3. 나의 글 - 본인이 작성한 글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작성 글을 하나로 묶은 모음을 만들거나 볼 수 있다.

4. 구독 - 본인이 구독하는 모든 사용자의 글을 업로드 순서대로 볼 수 있다. 본인이 구독하는/본인을 구독하는 사용자의 목록을 볼 수 있다.

5. 보관함 - 본인이 최근에 읽은 모음이나 저장해둔 타인의 글을 볼 수 있다.

6. 읽기 - 타인이 발행한 추천/최신 모음을 볼 수 있다.

 

페르소나 송밍키

 

씀의 기능을 바탕으로 타겟 사용자의 페르소나를 만들어보았습니다.

 


 

2. Discover

 

첫 번째 문제: 꾸미기의 제한

 

글 에디터

 

아기자기함을 좋아하고 사진 촬영을 즐기는 송밍키는 씀의 에디터 기능이 지나치게 제한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씀의 컨셉과 디자인 무드를 좋아하지만 사진을 추가할 수 있거나 글꼴을 변환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느낍니다.

 


 

두 번째 문제: 글 탐색의 제한

 

사용자가 타인의 글을 읽을 수 있는 경로는 네가지가 있습니다. (보관함 제외)

 

1. 랜덤으로 선정되는 아홉 편의 글을 본다.

랜덤 글 모음

 

2. 타인이 발행한 모음을 탐색한다.

읽기 페이지

 

3. 구독하고 있는 사용자의 글을 본다.

구독 페이지

 

4. 글감을 클릭하여 해당 글감의 글을 본다.

글감 페이지

 

랜덤과 구독을 제외하고

사용자가 직접 타인의 글을 탐색하는 방법은

모음과 글감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모음과 글감은 각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습니다.

 

1. 글감 탐색 - 사용자가 글감 이외의 제목으로 작성한 글은 탐색할 수 없다.

2. 모음 탐색 - 검색 대상이 모음 제목/부제목뿐이다. 텍스트 검색 이외에 카테고리나 필터 기능이 없어서 추천/최신 모음을 일일히 찾아야 한다.

 

즉, 씀은 타인의 글을 탐색을 하는 것에 있어서 지나치게 폐쇄적입니다.

본인이 원하는 글을 찾기 어렵습니다.

 


 

3. Define

 

 

제가 선정한 핵심 문제는 두 번째 문제: 글 탐색의 제한입니다.

 

씀의 핵심 기능은 쓰는 것뿐만 아니라 읽는 것도 있습니다.

문학의 장르도 다양한만큼 사용자에게 다양한 탐색 기능을 제공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제한된 탐색 기능이 익명 작가의 비밀 글을 읽는 무드를 줄 수 있지만

편의성을 위해서 조금은 타협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4. Ideate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음 탐색 기능을 추가해야 합니다.

 

글감과 랜덤 모음집은 씀의 컨셉입니다.

따라서 개별 글의 탐색을 더 개방하면 컨셉에 어긋날 수도 있다고 판단됩니다.

 

그러나, 사용자가 원하는 글을 직접 모아서 공유를 목적으로 발행한 모음은

다른 사용자가 쉽게 탐색할 수 있어야 합니다.

 

모음 발행자는 본인의 글이 잘 탐색되기를 바라며

모음 독자는 원하는 글을 탐색하기를 원합니다.

 

카테고리

 

따라서 제가 제안하는 솔루션은 씀이 모음 태그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사용자가 본인의 모음을 설명할 수 있는 태그를 선택할 수 있게 합니다.

태그는 씀이 대표적인 장르와 분위기로 미리설정해둡니다. 

 

EX)

장르 - 시, 소설, 에세이

분위기 - 유머, 우울, 자연, 편안 등등

 

독자는 태그별로 모음을 필터해서 탐색할 수 있게 됩니다.

원하는 모음을 더 간편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요즘 산책이 좋더라

 

오늘의 과제도 무사히 끝마쳤습니다.

 

간단하게 페르소나를 활용해서 유저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공해봤습니다.

처음으로 직접 페르소나를 만들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요즘은 산책이 좋습니다.

최근에 스마트 워치를 구매해서 그런 걸까요.

기계 하나가 제 행동을 유인한다는게 신기합니다.

 

기억도 참 신기합니다.

현관물을 열자마자 유난히 선선해진 바람을 맞았는데

그 바람과 함께 했던 모든 기억이 떠오르더군요.

 

바나나우유 같은 시절들.

 

앞으로도 화이팅입니다!

 

벌받는돌고래였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