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m부트캠프 (34)
야단난기획

안녕하세요 벌받는돌고래입니다. 위클리 과제라고 각잡지 말고 평소 데일리 하던대로 작성하려고 합니다. 나 돌아왔다! 벌받는돌고래! 역시 본인의 언어로 작성해야 뭐라도 적히는 거 같습니다. 미루고미루다가 시작하는 건 안비밀 진작에 이렇게 할 걸 후회하는 건 비밀 슬슬 알로랑 미운정고운정들어버린 것도 안비밀 알로야... 그래도 난 여전히 너 사랑해... 저번주에는 본인이 기획한 알로의 MVP를 구체화했습니다. 기획 산출물까지 성공적으로 실습한 상황입니다. 나 나름 기획자 같기도? 이제 알로의 안위를 본격적으로 신경써봅시다. 이번주부터는 성장 전략을 구체화합니다. 그럼 이번 위클리 과제도 화이팅해봅시다! 알로는 그로스 포인트에 도달했을까? 이에 앞서서 현재 알로가 실행 중인 전략과 설정 배경을 알아봅시다. 그리..

안녕하세요 벌받는돌고래입니다. 이제는 진심으로 춥습니다. 성북천의 고양이들은 잘지내고 있을까요. 내가 곧 쓰다듬으러 갈게..! 이제는 고객 데이터를 다뤄볼 차례입니다. 그 중에서도 개인화를 위한 데이터 분석 기법인 '사용자 세분화'와 '코호트 분석'에 대해서 배워봤습니다. 사용자 세분화란 사용자를 그들의 특징에 따라 나누고 그룹화한 다음 그룹에 따라 데이터를 분류하여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를 성별로 나누고 각각 성별의 서비스 가입률을 분석한다면 서비스 세분화의 일례가 되겠습니다. 코호트 분석이란 사용자 세분화와 유사하지만 '특정 기간'에 대한 고려가 추가 됩니다. 즉, 특정 기간 동안 공통된 특성이나 경험을 갖는 사용자 집단을 분석합니다. 위의 성별 예시에서 1월 한 달 내 ..

안녕하세요 벌받는돌고래입니다. 배가 고프네요. 대한민국의 배달 서비스는 참 대단합니다. 배가 고파도 썩 긴장이 되지 않습니다. 핸드폰만 켜면 무궁무진한 메뉴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죠. 그럼 오늘도 시작해봅시다! 어제는 그로스 해킹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그리고 오늘은 그로스 해킹의 분석 기법인 '고객 유입 분석'을 배웠습니다. 고객 유입 분석에서는 일반적으로 고객의 행동을 각각의 '이벤트'로 나누고, 이벤트에 따라 얼마나 많은 고객들이 유입되고 이탈하는지 분석합니다. 서비스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1. 많은 사람이 유입되고 2. 적은 사람이 이탈하며 3. 많은 사람이 핵심고객으로 전환 해야겠습니다. 고객 유입 분석 내에서도 유명한 프레임워크 중 하나로 AARRR이 있습니다. 스타트업에 맞춤 변형된 프레임워크입..

안녕하세요 벌받는돌고래입니다. 이미 몇 주 전부터 추워졌다고 생각했는데요. 하다가 또 며칠 전에는 덥더니 오늘은 또 선선합니다. 초봄이 지나고 오는 추위를 봄꽃을 시샘한다고 하여 꽃샘추위라 한다지요. 초가을이 지나고 오는 더위는 낙엽더위 정도로 부를 수 있을까요? 벌써 부트캠프가 5주차입니다. 오늘은 그로스 해킹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평소 채용공고에서 간간히 보았던 단어인데요. 막상 그 의미를 정확히 배운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그로스 해킹(혹은 그로스 마케팅)은 '고객의 취향을 파악하고, 더 효과적으로 고객에게 접근해 저비용으로 최고의 광고 효용을 추구하는 마케팅 기법'을 의미합니다. 마케팅 기법으로 정의되지만, 꼭 마케팅에서만 사용되는 개념은 아닙니다. 어떤 문제를 발견하고 해당 포인트를 시작으로 성..

안녕하세요 벌받는돌고래입니다. 그거 아시나요. 산책에는 영업시간이 없습니다. 문고리 한 번 붙잡고 스르륵 돌린 다음 밖으로 나가면 밖입니다. 생각보다 놀라운 사실이지요. 식당이 문을 닫고 대중교통이 멈춰서도 산책은 언제든지 가능합니다. 저를 종종 놀라게 하는 일입니다. 가끔은 무한한 공간이 두렵습니다. 오늘 밤에는 고양이를 보러 가야겠습니다. 저녁으로는 피자가 먹고 싶습니다. 오늘은 피그마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피그마는 도구라서, 배운다고 배워지는게 아닙니다만 그래도 가위에 두 손가락을 끼우는 법은 배운 것입니다. 그런데 고백할 사실이 있습니다. 피그마 작년부터 사용해왔습니다. 그래서 이번 수업은 편한 마음으로 들었습니다. 두둥~ 총총... 아무쪼록 곧바로 과제를 들어가봅시다. 오늘의 과제는 다음과 같습..

지난주에는 알로의 '회의 기능'을 MVP 기획해봤습니다. 이번주에는 해당 기획을 구체화합니다. 코드스테이츠에서 제공하는 가이드를 따라보겠습니다. 먼저 첫 번째는 기능 정의입니다. 시나리오 상, 서비스 컨셉 상 필요한 기능들 모두 리스트업 솔루션을 위해 세부적으로 어떤 기능이 필요한지 각각의 기능은 어떤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것인지 유사한 기능들끼리 그룹핑 각각 기능들과 그룹 간 중요도를 1~9로 표시 각각 기능들에 대한 정의 / 필요한 내용 & 컨텐츠에 대한 설명 작성 우선순위가 높은 기능부터 작성합니다. 구분 서비스(메뉴) 필요 기능 기능 설명 레퍼런스 우선순위 사용자 캔버스 내 회의 시작 버튼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회의 시작 팝업이 등장한다 1 회의 시작 팝업 날짜 및 시간 표시 오늘 날짜와 시간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