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 과제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네이버웹툰 - AARRR

벌받는돌고래 2022. 9. 22. 12:33

 

안녕하세요 벌받는돌고래입니다.

 

배가 고프네요.

 

대한민국의 배달 서비스는 참 대단합니다.

 

배가 고파도 썩 긴장이 되지 않습니다.

 

핸드폰만 켜면 무궁무진한 메뉴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죠.

 

그럼 오늘도 시작해봅시다!

 


 

어제는 그로스 해킹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그리고 오늘은 그로스 해킹의 분석 기법인 '고객 유입 분석'을 배웠습니다.

 

고객 유입 분석에서는 일반적으로 고객의 행동을 각각의 '이벤트'로 나누고,

이벤트에 따라 얼마나 많은 고객들이 유입되고 이탈하는지 분석합니다.

 

서비스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1. 많은 사람이 유입되고

2. 적은 사람이 이탈하며

3. 많은 사람이 핵심고객으로 전환

 

해야겠습니다.

 

고객 유입 분석 내에서도

유명한 프레임워크 중 하나로

 

AARRR이 있습니다.

 

스타트업에 맞춤 변형된 프레임워크입니다.

 

1. 획득

2. 활성화

3. 재방문

4. 매출

5. 추천

 

과 같은 5가지의 중요 지표를 의미합니다.

 

오늘의 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과제 1. AARRR 분석 세팅해 보기

  1. 평소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 1가지를 선정합니다.
  2. 해당 서비스에서 '매출에 기여하는 가장 중요한 기능'을 선정합니다.
  3. 해당 기능에서, 사용자가 '전환'하기까지 어떤 프로세스를 거치는지 분석합니다. ex) 웹사이트 방문, 앱 다운로드, 회원가입, 장바구니, 구매 전환
  4. '3번'에서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해당 서비스를 AARRR 기법을 통해 분석한다고 가정합니다.
  5. AARRR의 각 단계에서 제품의 어떤 구간을 분석할지 추측합니다. ex) Acquisition - 서비스 방문, Activation - 상품 페이지 열람 등

 


 

선정한 서비스는 네이버웹툰입니다.

 

네이버웹툰

 

본인은 최근에 웹툰 삼매경입니다.

 

어디서든 제약 없이 편하게 볼 수 있다는 점이

웹툰의 가장 큰 매력이라고 생각합니다.

 

네이버웹툰의 매출 기여 중요 기능으로는

'쿠키 결제'를 꼽았습니다.

 

쿠키는 완결된 웹툰이나

연재중인 웹툰의 다음화를 미리보기 위한 수단입니다.

 

사용자는 쿠키를 구매하고

쿠키를 마치 웹툰을 구매하는 화폐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네이버웹툰에 유입하면서 쿠키를 결제하기까지 어떤 프로세스를 겪는지 분석해봅시다.

 

네이버웹툰은 웹툰 플랫폼입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관심 있는 웹툰에 대해서 먼저 접하고

이를 보기 위한 수단으로 네이버웹툰에 유입합니다.

 

유미의 세포들 드라마

 

웹툰을 접하는 경로는 다양합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위와 같이 웹툰 원작 콘텐츠를 먼저 접하고

웹툰을 보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별이삼샵

 

저 같은 경우는 친구가 강력 추천하는 웹툰을 보기위해서

네이버웹툰을 사용하게 됐습니다.

 

이제 사용자는 네이버웹툰에 유입됐습니다.

(웹, 앱 어느 플랫폼이든)

(네이버웹툰은 웹, 앱 모두 제공합니다)

 

웹툰 에피소드 리스트

 

본격적으로 사용자는 웹툰을 감상합니다.

 

웹툰은 약 3분 분량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역시나 놀랍게도

 

웹툰은 너무 재밌습니다.

 

미리보기와 쿠키

 

부들부들...

 

아 도저히 못 참겠다!

 

내 돈을 가져가!

 

 

나는 혀노의 노예다!!

 

이렇게 누군가가 또 혀노의 노예가 됐습니다.

 

그럼 해당 서비스를 AARRR을 활용해 분석한다고 가정해봅시다.

AARRR의 각 단계에서 네이버웹툰의 어떤 구간을 분석하면 될까요?

한 번 추측해봅시다.

 


 

1. 획득

 

네이버웹툰 사용자 획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네이버웹툰에 들어오고 첫 작품을 감상하는 것입니다.

 

즉, 웹사이트 방문이나 앱 설치 후 오픈입니다.

 

참고로 네이버웹툰은 로그인을 필수로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1. 특정 웹툰을 알게 됨 / 웹툰 자체에 관심을 가짐

2. 네이버웹툰을 첫 방문함

3. 네이버웹툰에서 탐색(검색)함

4. 어떤 웹툰을 첫 감상함

까지가

 

네이버웹툰 획득에서 분석할 구간이라고 생각합니다.

 

해당 분석에서 중요한 데이터는

 

1. 웹툰을 알게 된 경로 - 드라마, 지인 추천 등등

2. 신규 사용자가 첫 감상한 웹툰

3. 신규 방문자 수

 

등등이 떠오릅니다.

 

2. 활동

 

네이버웹툰 사용자 활동의 핵심은

사용자가 웹툰 감상 시 어떤 경험을 하는가입니다.

 

따라서

1. 어떤 웹툰을 첫 감상하고

2. 다음 행동으로는 어떤 걸 했고 (웹툰 이어보기, 다른 웹툰 찾기, 나가기 등등)

3. 몇 시간 동안 몇 종류의 웹툰의 몇 에피소드를 소비했고

4. 언제 이탈했는지

까지가

 

네이버웹툰 활동에서 분석할 구간이라고 생각합니다.

 

해당 분석에서 중요한 데이터는

 

1. 감상 에피소드 수

2. 감상 웹툰 종류

3. 서비스 체류시간

4. 이탈 경로

5. 웹툰 탐색 시간

6. 행동 흐름

 

등등이 떠오릅니다.

 

3. 재방문

 

네이버웹툰 사용자 재방문의 핵심은

사용자가 웹툰을 재소비하는지입니다.

 

따라서

1. 네이버웹툰에 재접속하고

2. 무엇을 했고 (위 활동과 동의)

3. 언제 이탈했는지

까지가

 

네이버웹툰 재방문에서 분석할 구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재방문에서 분석할 내용은 위의 활동 구간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는데요.

활동 구간과는 다르게 해당 분석에서 중요한 데이터는

 

1. 재방문까지 걸린 시간

2. 재방문 시간과 체류 시간의 비율

3. 이탈률

 

등등이 떠오릅니다.

 

4. 매출

 

네이버웹툰 사용자 매출의 핵심은

쿠키 결제입니다.

 

따라서

1. 어떤 상황에서 쿠키 결제창으로 이동했고

2. 얼마나 어떤 결제 방식으로 구매했고

3. 어떻게 쿠키를 사용했고

4. 어떤 상황에서 다시 쿠키를 재구매했는지

까지가

 

네이버웹툰 매출에서 분석할 구간이라고 생각합니다.

 

해당 분석에서 중요한 데이터는

 

1. 쿠키 구매 전 활동

2. 쿠키 구매 빈도

3. 쿠키 구매량

4. 쿠키 사용처

 

등등이 떠오릅니다.

 

5. 추천

 

네이버웹툰 사용자 추천의 핵심은

웹툰 공유 및 바이럴입니다.

 

따라서

1. 어떤 상황에서 공유(겟짤 등등)기능을 사용했고

2. 해당 공유가 어떤 반응을 일으켰고

3. 결과적으로 신규 사용자가 유입됐는지

까지가

 

네이버웹툰 추천에서 분석할 구간이라고 생각합니다.

 

해당 분석에서 중요한 데이터는

 

1. 공유 기능 사용량

2. 공유 빈도

3. 공유 링크 접속율

4. 공유로인한 유입 전환율

 

등등이 떠오릅니다.

 


 

오늘의 과제는 여기까지입니다.

 

아아..

 

어제 젖은 베개를 베고 잤더니

 

몸이 뜨겁고 곤란합니다.

 

덕분에 예매했던 영화를 취소했는데요.

 

이렇게 된 거 웹툰을 봅시다!

 

하하.

 

반갑습니다 벌받는돌고래였습니다.

 

빨리 건강 회복하고 이번주도 화이팅합시다!